01. 앱 서비스 기본 동작 구조
클라이언트 / 서버
- 클라이언트: 사용자 ex.) 크롬, 사파리, 앱
- 서버: 컴퓨터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
💻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, 서버는 응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.
안드로이드는 Java&Kotlin, iOS는 Swift로 개발한다.
02. 필수 프로그램
1️⃣ Visual Studio Code
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
Visual Studio Code - Code Editing. Redefined
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.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- Linux, macOS, and Windows.
code.visualstudio.com
2️⃣ Android Studio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studio/?authuser=1
Download Android Studio & App Tools - Android Developers
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(IDE) optimized for Android apps. Download Android Studio today.
developer.android.com
기초 문법
03. 변수
- let : let 변수명
- const : 코드 상에서 쉽게 변하면 안 되는 고정 값에 사용
04. 리스트 & 딕셔너리
- list => 배열
- dictionary => 객체
리스트 선언하기 => let a_list = []
딕셔너리 선언하기 => let a_dict = {}
리스트를 사용하면? 순서 나타내기 가능
딕셔너리 사용하면? 정보 묶기 가능
05. 함수 형태
function 함수명 {
}
함수명(변수);
let a = function() {
}
a()
06. 조건문 예시 (if else)
function is_adult(age){
if(age>20){
alert('성인')
}else{
alert('청소년')
}
07. 반복문 예시 (for, 99까지)
for(i=0; i<100; i++){
console.log(i)
}
08. 배열 (딸기 개수 구하기)
let fruit_list = ['사과','감','감','배','포도','포도','딸기','포도','감','수박','딸기']
let count = 0;
for (let i = 0; i < fruit_list.length; i++) {
let fruit = fruit_list[i];
if (fruit == '딸기') {
count += 1;
}
}
console.log(count);
09. 자주 쓰이는 문법
// 기본
let a = function() {
console.log("function");
}
a();
// 최신
let a = () => {
console.log("arrow function");
}
a();
10. 비구조 할당
딕셔너리 값 사용 시, 할당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
// 객체
let blog = {
owner : "noah",
url : "noahlogs.tistory.com",
getPost() {
console.log("ES6 문법 정리");
}
};
// 기존 할당 방식
let owner = blog.owner
let getPost = blog.getPost()
// 비구조 할당 방식
let { owner, getPost } = blog;
11. 리터럴
(`) 백틱을 이용하면 줄바꿈(\n) 불필요함!
const url = `http.~~`;
12. map 사용
let numbers = [1,2,3,4,5,6,7];
for(let i=0; i<numbers.length; i++){
console.log(numbers[i]);
}
//이렇게!!
let numbers = [1,2,3,4,5,6,7];
numbers.map((value,i) => {
console.log(value,i)
})
💬
지금까지 var로 선언해왔는데 let 방식도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..🤣
기존 방식을 사용해와서 익숙하진 않지만 애로우 방식도 꽤 편한 것 같고!
최신 방식이 궁금했는데 이번 주차에서 많이 다뤄주셔서 완전 열심히 들었다.
듣다 보니까 다 기존 버전만 쓰고 있었음
오랜만에 하다 보니 #으로 주석 달고 println 적고 난리였지만..
제대로 쓰려면 한번 정리해봐야겠다 😚
'개발일지 [스파르타코딩클럽] > 앱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앱개발] #3주차 리액트(컴포넌트, 상태, 속성, useEffect) (0) | 2022.11.27 |
---|---|
[앱개발] #2주차 React native & Expo (0) | 2022.11.20 |